본문 바로가기
음주운전

음주운전 벌금 2025년 최신 기준

by 음주운전 전담팀 2025. 2. 18.

음주운전 벌금 기준을 정확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부터 음주운전 처벌 기준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제는 당연히 한 잔의 술도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됩니다. 최신 법규를 숙지하고, 절대 음주 후 운전대를 잡지 마세요.

 
음주운전 벌금 2025

 

 

 

목차

     

     

     

     

     

     

     

     

    2025년 음주운전 벌금 및 형사처벌 기준

    혈중알코올농도별 벌금 및 징역 기준

    음주운전의 처벌 기준은 혈중알코올농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혈중알코올농도 2024년 기준 2025년 개정 이후
    0.03% 이상 0.08% 미만 (초범) 1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 벌금 동일
    0.08% 이상 0.2% 미만 (초범) 1년 이상 2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 벌금 동일
    0.2% 이상 (초범) 2년 이상 5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 벌금 동일

     

     

     

    초범과 재범의 처벌 차이

    재범의 경우 더욱 강력한 처벌이 적용됩니다.

    구분 2024년 기준 2025년 개정 이후
    재범 (10년 내 2회 이상 위반) - 0.03% 이상 0.2% 미만 1년 이상 5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 벌금 동일
    재범 (10년 내 2회 이상 위반) - 0.2% 이상 2년 이상 6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 벌금 동일

     

     

     

    음주 측정 거부 및 방지장치 의무화

    2025년부터 음주운전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시행됩니다.

    구분 2024년 기준 2025년 개정 이후
    음주 측정 거부 1년 이상 6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 벌금 동일
    음주운전 방지장치 의무화 없음 5년 내 2회 이상 음주운전 적발 시 방지장치 장착 차량만 운전 가능
    음주 측정 방해 행위 처벌 없음 1년 이상 5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 벌금
     

     

     

     

     

    2025년 한 번 더 주목하세요

    2025년 달라지는 도로교통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음주운전 방지장치 도입 (2024.10.25. 시행)

    • 운전자의 호흡 검사에서 알코올이 검출될 경우 차량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
    • 장치 부착 기간
      • 단순 음주운전 2회 이상: 2년
      •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 2회 이상: 3년
      • 음주운전 뺑소니 및 사망사고: 5년
    • 5년 내 2회 이상 음주운전 적발 시 결격 기간 종료 후 방지 장치 부착 차량만 운전 가능

     

     

     

    음주측정방해행위(술타기) 처벌 (2025.6.4. 시행)

    • 일명 '술타기' 수법 처벌
    • 음주운전 후 혈중알코올농도를 희석하거나 측정을 방해할 목적으로 추가 음주 또는 의약품 사용 시 처벌
    • 위반 시 처벌
      • 1년 이상 5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 벌금
      • 운전면허 행정처분은 음주측정 거부자와 동일하게 적용

     

     

    보행자 보호 의무 강화 

    • 횡단보도 앞 일시정지 의무 확대
      • 기존: 보행자가 '횡단 중'일 때만 정지
      • 개정 후: 보행자가 '횡단하려고 할 때'에도 정지 의무 부과
     
     
     

    음주운전 벌금 외 추가 비용

     

    음주운전으로 인한 금전적 부담은 벌금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 보험료 할증: 1회 적발 시 10%, 2회 적발 시 20% 이상 증가
    • 사고 발생 시 부담금 증가: 대인사고 300만 원, 대물사고 100만 원 부담
    • 강제 징수 및 사회봉사명령: 벌금 미납 시 강제 징수 및 사회봉사 처분 가능

     

     

     

    음주운전 벌금 납부 및 감면 가능성

    • 벌금 납부 방법: 경찰청 교통범칙금 납부 사이트 또는 은행 납부 가능
    • 벌금 감면 가능성: 경제적 어려움이 인정될 경우 일부 감면 또는 분할 납부 가능
     
     
     

    결론

    2025년부터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단순한 벌금이 아니라, 재범자에 대한 강력한 법적 조치와 예방 대책이 추가되었습니다.

    음주운전은 절대 가벼운 문제가 아닙니다. 법적 처벌뿐만 아니라, 본인과 타인의 안전을 위해 절대 술을 마신 후 운전하지 마세요.

     

     


    📌  참고 자료

    • 도로교통법 제148조의2 (음주운전 처벌 조항)
    • 경찰청 공식 홈페이지 (www.police.go.kr)
    • 법무부 개정법령 공고 (www.moj.go.kr)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음주운전 벌금 총정리 바로가기

     


    음주운전 용어 40 +N 바로가기

     


    피해자 합의금 실제 사례 바로가기